유용한정보

Node.js ✅ npm 기본 사용법과 패키지 관리

jonbeo 2025. 10. 24. 09:46
반응형

 

 

Node.js는 단순한 런타임 환경을 넘어서, npm 생태계 덕분에 강력한 개발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습니다.
npm은 전 세계 개발자들이 만든 모듈을 쉽게 설치, 공유,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 npm 기초부터 실무에서 자주 쓰는 패키지 관리법까지 정리합니다.


🧩 1. npm이란?

  • Node Package Manager의 약자
  • Node.js 설치 시 기본 포함
  • 패키지(라이브러리, 모듈)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도구
  • JavaScript/TypeScript 프로젝트에서 사실상 표준

📌 2. npm 기본 명령어

 
# 패키지 초기화
npm init -y

# 패키지 설치
npm install 패키지명

# 개발용(Dev Dependencies) 패키지 설치
npm install 패키지명 --save-dev

# 전역(Global) 설치
npm install -g 패키지명

# 패키지 제거
npm uninstall 패키지명

# 패키지 업데이트
npm update 패키지명

# 설치된 패키지 확인
npm list

📦 3. package.json 파일

package.json은 프로젝트의 설정 & 의존성 관리 파일입니다.

 

예시:

 
{
  "name": "my-app",
  "version": "1.0.0",
  "scripts": {
    "start": "node index.js",
    "dev": "nodemon index.js"
  },
  "dependencies": {
    "express": "^4.18.0"
  },
  "devDependencies": {
    "nodemon": "^2.0.20"
  }
}

 

📌 dependencies는 실행 시 필요한 패키지, devDependencies는 개발 중에만 필요한 패키지


⚙️ 4. npm scripts 활용

  • scripts 항목에 자주 쓰는 명령어를 등록하면, npm run으로 실행 가능
 
"scripts": {
  "start": "node index.js",
  "dev": "nodemon index.js",
  "build": "webpack --mode production"
}

 

실행:

 
npm run dev

🔧 5. 버전 관리 (Semantic Versioning)

npm 패키지 버전은 MAJOR.MINOR.PATCH 형식으로 관리됩니다.

 

예: ^4.18.0

  • MAJOR (4): 호환성 깨짐 (큰 변경)
  • MINOR (18): 새로운 기능 추가 (하위 호환 유지)
  • PATCH (0): 버그 수정

📌 ^4.18.0 → 4.x 버전 내에서 최신 유지
📌 ~4.18.0 → 4.18.x 버전 내에서 최신 유지


🧠 6. 실무에서 자주 쓰는 패키지 예시

  • Express – Node.js 웹 서버 프레임워크
  • Nodemon – 코드 변경 시 서버 자동 재실행
  • dotenv – 환경 변수 관리
  • Axios – HTTP 요청 라이브러리
  • Jest – 테스트 프레임워크

📝 마무리 정리

  • npm은 Node.js의 필수 패키지 관리 도구
  • npm init, npm install, npm run만 알아도 기본 프로젝트 운영 가능
  • dependencies vs devDependencies 구분 필수
  • 버전 관리 규칙(SemVer) 이해하면 업데이트 시 문제 줄일 수 있음
반응형